티스토리 뷰
■ 평창 고랭지 김장 축제 소개
평창 고랭지 김장 축제는 잊혀가는 우리의 김장 문화를 살리자는 취지와 함께, 평창 고랭지 배추의 우수성을 널리 홍보하고자 2016년 첫 회를 시작으로 탄생하였습니다.
연인, 가족끼리 편안하게 평창을 찾으셔서 화목한 분위기에서 김장을 즐기며, 평창군에서 준비한 여러 유기농 우수 농산물을 싼 가격에 구입도 가능합니다.
김장 체험 교육도 시행하고 있어, 김장 초보들도 얼마든지 김장을 쉽게 담글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한여름에 신선한 채소를 공급하는 농업기지가 되어, 우리 땅에서 생산되는 배추의 약 15%가 이 고랭지에서 나옵니다.
☛ 평창 고랭지 김장축제 홈페이지 https://www.gimjang700.co.kr/
◆ 찾아오시는 길
- 주소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하진부리 1289-75 또는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천로 1958-51
◆ 자가용 이용 시
▷ 수도권에서
- 경부고속도로 신갈 JC, 또는 중부고속도로 호법 JC에서 영동고속도로 강릉 방향 진입, 진부 TG 나오면 3분 거리에 행사장
▷ 충청/전라권에서
- 중부고속도로 서울 방향, 호법 JC에서 영동고속도로 강릉 방향 진입
▷ 경상권에서
- 중부내륙고속도로 여주 JC에서 영동고속도로 강릉 방향 진입
◆ 대중교통 이용 시
▷ 서울역, 청량리역에서 진부역(오대산 역)으로 오는 KTX 운행
▷ 서울 동서울터미널에서 06시 30분 ~ 20시 05분까지( 30분에서 1시간 간격 운행 )
▷ 서울 남부터미널에서 07시 00분 ~ 16시 00분까지(1시간 30분에서 2시간 간격 운행)
▷ 강릉에서 강릉시외버스터미널에서 수시 운행
▷ 원주에서 원주시외버스터미널에서 수시 운행
☎ 교통문의
- 진부 버스터미널 033) 335-6963, 진부 택시 033) 335-1050, 평창군 종합안내소 033) 330-2771
◆ 고랭지 절임용 배추
■ 맛있게 김장 담그기
▷ 운영 기간 : 2022년 11월 4일(금) ~ 2022년 11월 20일(일)
▷ 운영시간 : 오전 09:00 ~ 오후 17:00 접수는 오후 4:00에 마감
▷ 전화 및 홈페이지 예약 시간 : 오전 10:00 ~ 오후 04:00
▷ 참가 방법 : 전화 및 온라인 예약
- 전화 및 온라인 예약 : 033) 336-4000, 335-1577, 온라인 예약 : 온라인 예약하기(아래 링크 참조)
- 예약 시간 : 10:00~16:00, 체험 시간은 시간 간격임
- 현장 접수 : 매일 오전 9시 ~ 오후 4시(현장 대기 시간이 길어질 수 있음, 가급적 예약을 추천)
◆ 상품과 가격
- 접수 방법 : 전화 예약 및 평창김장축제 예약하기 ☞
■ 평창 고랭지 김장 축제 즐기기
◆ 주변 볼거리
- 김장 축제 겸해서 주변 관광명소도 들러보시고 1박 편히 쉬시고 가세요.
◆ 특산품
◆ 미디어 홍보 사진 자료
■ 고랭지 배추가 김치를 담그기에 적합한 이유
- 해발 600미터 이상 되면 한여름에도 배추가 버틸 수 있을 정도로 온도가 낮음. 이런 지역을 고랭지(高冷地)라고 함
1. 높은 해발고도
- 평균 고도 600m가 넘는 고지대에서 재배되어 서늘한 기후에서 자라기 때문에, 조직이 단단하고 아삭한 식감이 좋음, 쉽게 무르지 않아 김치를 오래 보관 가능
2. 큰 일교차
- 큰 일교차로 인해 배추에 이슬이 많이 맺혀 수분이 많고, 고소한 맛이 남
3. 위생적인 관리
- HACCP 인증 시설에서 철저하게 관리되어 믿고 먹을 수 있음
4. 사계절 수확 가능
- 한여름에도 배추가 버틸 수 있을 정도로 온도로, 사계절 내내 수확이 가능하여, 언제든지 신선한 배추를 구입 가능
5. 고랭지 배추는 미네랄과 비타민 등 영양소가 풍부하여 건강에도 좋음
■ 2023 & 2024년 예상 김장 트렌드
1. 다양한 재료를 활용한 특색 있는 김장 소비 확장
- 소비자 취향의 다변화로 취향을 존중한 제품들이 많아 짐
- 따라서 다양한 과일이나 허브류가 들어간 특색 있는 김장이 인기를 끌 것으로 예상
2. 대량 생산이 어려운 김장(포장김치 ↑, 김장 김치 ↓)
- 핵가족화 및 혼밥족이 늘어남에 따라, 다품종 소량 생산을 통해 소비자 선택의 기회를 넓히는 방법으로 시장 진입(다양한 소 포장김치 등 양산)
3. 제품 가격의 양극화
- 내년 경제 전망이 전체적 하락이 예상됨에 따라, 김장 비용에 대한 부담 확대
- 따라서 저렴한 가격의 김장재료나 완제품 김치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
4. 고급스러운 재료와 맛을 원하는 소비자들은 프리미엄 김장재료나 수제 김치를 선호하는 경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