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 설악산 중청대피소 소개

설악산 중청대피소 등반객 쉼터 역사 속으로

 

설악산 대청봉을 오르는 탐방객들에게, 훌륭한 쉼터 역할을 하던 중청대피소가 곧 철거될 예정입니다. 국립공원 공단 및 산악인 등에 따르면, 설악산국립공원사무소는 지난 25일 홈페이지 알림을 통해 소식을 전했습니다.

 

오는 10월 1일부터 중청대피소 철거 및 신축공사에 들어갈 예정이며, 중청대피소의 숙박 기능은 오는 9월 30일까지 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설악산 중청대피소 등반객 쉼터 역사 속으로

 

■ 중청대피소 철거 이유와 신축 과정 소개

충청대피소 철거안내 및 반대입장

 

- 철거되는 중청대피소는, 지난 1983년 처음 설치됐고 1994년에 현재의 모습을 갖춤

 

- 그동안 시설 노후화로 인해, 시설 안전도 D등급 판정을 받고, 경관, 고산 환경 훼손 등의 이유로 철거 지적을 받음

 

설악산 위엄있는 산의 풍경
 

1) 지난 2017년 당시 더불어민주당 모 전 국회의원이, 중청대피소가 대피소 기능을 하지 않고, 숙박시설처럼 비정상적으로 이용되며, 환경도 오염시키고 있다고 지적함

 

2) 국립공원공단은 지난 2019년 국립공원 내 20개 대피소의 숙박 및 매점 기능을 폐지하고, 친환경적으로 운영하겠다는 계획을 밝힘

 

3) 설악산국립공원 관계자는 중청대피소 철거 및 신축공사와 관련, 노후된 기존 중청대피소를 철거하고, 신축건물을 짓지만, 이전처럼 숙박 기능으로는 활용하지 않고 순수 대피소 기능만 하게 된다고 밝힘

 

4) 그러나 중청대피소의 숙박시설 기능이 사라지면, 설악산 대청봉을 등반하는 탐방객들의 안전에 위험이 뒤따를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옴

 

■ 중청대피소 숙박 기능을 대체할 대피소 소개(희운각 대피소, 소청대피소)

중청대피소 내부

 

1) 중청대피소에서 숙박 불가 시, 희운각 대피소나 소청대피소 등을 이용, 2시간 가까이 내려가는 길이 힘든 경사 구간이라 위험 요인이 상존

 

2) 특히 초보자들의 경우 오색이나 한계령에서 대청봉으로 올라오다 보면, 다리 힘을 전부 소진하게 돼 내려가는 길에 실족사고 등 심각한 위험이 상존

 

설악산 이른 가을 풍경

 

3) 북서풍이 매섭게 부는 지형 특성 문제로 심각한 탈진상태에 빠질 우려 높음(특히 동절기 위험성이 큼)

 

4) 수용 인원 100명의 중청대피소 숙박 기능을 대신할 희운각 대피소는, 현재의 수용 인원 30명에서 80명 규모로 증축공사가 진행 중, 올해 안에 공사가 마무리될 계획임

 

◆ 설악산국립공원 관계자의 견해(중청대피소 철거)

 

- 설악산을 많이 찾는 산꾼들과 여행객의 보금자리가 돼 주었던, 중청대피소의 숙박 기능이 9월 16일부로 정지

 

- 설악산국립공원 관계자는, 중청대피소를 대체할 희운각과 소청대피소의 공사가 원활히 진행, 중청대피소 자체의 노후화가 심해 공사가 시급한 점을 고려해 철거 일정을 잡은 것이라 전함

 

- 중청대피소 철거 논의는 최근 몇 년 동안 계속됐으며, 그간 철거 사유는 시설이 노후화돼 시설 안전도 D등급 판정을 받은 점, 경관, 고산 환경 훼손 등으로 철거가 적절하다봄

 

◆ 중청대피소 철거에 대한 산악계의 견해

 

- 중청대피소의 대체 대피소로 제안된 희운각의 경우, 1976년 직접 10m 눈이 온 걸 경험한 적 있음(폭설 시 위험)

 

- 안부 대피소와 계곡 대피소는 그 기능과 위험성이 전혀 다른데, 이를 고려하지 않은 처사라고 거세게 비판

 

- 또한 숙박 기능은 없애고 대피 기능만 유지 입장에 대해서도,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을 것이라 분석이 강함

 

▲ 그 이유로 이전에 한국등산학교 동계반이 죽음의 계곡을 오르다, 몇 명이 탈진해서 중청대피소에 대피 요청을 했는데, 예약을 안 했다고 쫓아내려 했던 적 있음

 

▲ 중청대피소를 찾는 등산객이, 대피하려는 것인지 숙박하려는 것인지 어떻게 판단할 것인 가라고 반문 제시

 

◆ 산악계 자체 설문 조사 결과

 

- 중청대피소 철거 논의가 불거졌던 지난 2021년 6월, 월간산(山) 독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자체 여론조사에서도, 중청대피소 철거를 반대하는 목소리가 압도적으로 높음

 

- 설문에는 총 1,089명이 응답했는데, 그중 약 95%인 1,033명이 철거에 반대한다고 응답

 

▲ 그 이유로는, 한계령 및 오색에서 올라온 등산객들이 체력이 빠진 체, 희운각 대피소로 가는 가파른 내리막을 걸으면 사고의 위험이 크다는 것이 주된 이유

 

 

◆ 중청대피소 철거에 찬성한 일부 산악인의 견해

 

- 산악인 모 씨는 대피소를 없애야 산이 산다고 하면서, 중청대피소 철거가 환경보호를 위해 필요하다는 소수 의견도 제기

 

- 설악산 케이블카 설치를 반대해 온 산악인 배 모씨, 술과 고기로 난장판을 벌이는 대피소 문화는 우리가 한 번 재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는 의견제시(극히 소수인이 대피소 문화를 미 인지)

 

- 궁극적으로 모든 대피소의 숙박 기능을 제거해야, 산이 산다워질 수 있다고 본다는 의견 제시

 

설악산의 운무

 

■ 본 글을 작성하는 입장에서 본 견해

설악산 운무 풍경

 

오래전 본인의 실제 경험에 의하면, 답은 중청대피소 철거는 해서는 안 됩니다.

 

술과 고기가 난무하고 환경 훼손이 심각하고 안전에 대한 위험성이 있다손 치더라도, 그건 공단관리소 측의 관리와 운영의 미숙함이라 봅니다.

 

미 예약했다고 공단 측의 대피소 입장을 무조건적 금지한다면, 생명 경시의 행위이며 직무유기라고 보입 니다.

 

▲ 그 이유는 갑자기 폭우나 폭설이 쏟아질 경우, 특히 오후에 폭우와 폭설을 만난다면, 공포심은 물론 생 명의 위험까지 느끼는 두려움이 엄습해 옵니다.

 

▲ 일례로, 울산 흔들바위를 지나 봉정암을 거쳐 대청봉 등반 코스인데, 앞이 잘 보이지도 않을 정도로 갑 짜기 폭우가 내려, 비도 피할 겸 중청대피소를 찾았더니, 비 예약이라고 받아주지도 않았지요.

 

▲ 결국 비를 온몸으로 맞으면서 하산 길을 재촉 중에, 동료 중 3명이 저체온증이 발병하여, 산악구조대의 도움을 받아 병원으로 실려 갔던 적이 있었습니다.

 

■ 설악산의 사계 풍경 및 주요 등산 코스

설악산의 사계 풍경

 

◆ 설악산 주요 사계 풍경

 

설악산의 사계

◆ 설악산 주요 등산 코스

 

 

설악산 등반코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