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국립공원-대한민국 제1호 국립공원 지리산 소개
1872년 옐로우스톤(Yellowstone)이 세계 최초 국립공원으로 지정되면서, 국립공원 제도가 전 세계로 확산되었습니다.
현대에 와서는 파괴되어 가는 자연생태계와 환경, 문화 역사 유산의 보전을 목적으로 공원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리산이 제1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면서, 제도 도입이 이루어져 현재 22개의 국립공원이 지정 관리되고 있습니다.
- 1967년 법률 제1909호로 우리나라에 국립공원 제도 도입
- 1967년 국립공원위원회의 공원 지정 결의와 국토종합계획심의회 통과 후, 지리산을 제1호 국립공원으로 지정
▶ 대한민국 국립공원 홈페이지 바로가기 ☞ ☞ ☞
■ 한국 국립공원 유형
전국 22개 국립공원은 유형에 따라, 산악형(18개), 해상 해안형(3개), 사적형(1개) 공원으로 관리 운영되고 있습니다.
- 국립공원 면적 중 59.1%인 3,972㎢가육상, 나머지 2,754㎢(40.9%)가 해상공원구역
- 자연생태계의 보고인 국립공원은, 국내 기록 생물종(45,295종)의 45%에 해당하는 20,568종이 서식 분포
- 국내 멸종위기종(246종)에 한정하여 보았을 때는, 65%에 달하는 160종이 국립공원 내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
■ 세계 최초의 국립공원 옐로우스톤(Yellow Stone)
■ 대한민국 제1호 국립공원 지리산
우리나라 최초의 국립공원 지정 논의는, 1935년 일본인 다무라 등 학자들에 의한 '금강산을 국립공원으로 지정하는 건의'가 최초였습니다.
광복 이후 1960년 초까지는 논의될 기회가 없었는데, 1960년 FAO 등 국제 교류 관계로 우리나라에 온 클리지 박사와 클레란드 박사 등이 아름다운 풍경 지역을 자원으로 한, 국제관광의 진흥책으로 국립공원제도를 추천하면서 다시 관심을 받게 됩니다.
■ 국립공원 전문 관리기구 국립공원공단 창설
1967년 지리산을 최초의 국립공원으로 지정한 이래, 1987년 6월까지 우리나라는 국립공원의 지정, 공원계획 등 기본사항은 건설부가 전담하고 있었습니다.
공원 탐방객, 자원 보호, 청소와 시설물 관리 등 공원 내 현장관리 업무는 지방 자체 단체가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이에 따라 지자체의 관심도와 재정 능력에 따라, 공원 간 심지어 공원 내 지역 간에도 심한 불균형이 나타나고 있었습니다.
당시 감사원장은 국립공원 관리의 문제점 및 대책을 85년 12월 4일 대통령에게 보고했습니다. 그 결과 국립공원 관리의 효율화를 위하여 공단 설립이 대안으로 채택되었습니다.
■ 대한민국 국립공원문화
■ 아름다운 길
◆ 무장애 탐방길
◆ 북한산 둘레길
◆ 태안 해변길
◆ 바다 백리길
■ 제1호 국립공원 지리산 소개
◆ 지리산 국립공원 안내
▶ 행정. 지리적 현황
- 1967년 12월 29일 우리나라 최초의 국립공원으로 지정
- 3개도(경남 하동, 함양, 산청, 전남의 구례, 전북의 남원), 1개 시, 4개군, 15개 읍면의 행정구역
- 22개 국립공원 중 가장 넓은 면적의 산악형 국립공원
▶ 산악형 국립공원 특색
- 예로부터 금강산, 한라산과 함께 삼신산(三神山)의 하나, 민족적 숭앙을 받아 온 민족 신앙의 영지(靈地)
- 지리산의 영봉인 천왕봉에는, 1,000여 년 전에 성모사란 사당이 세워져 성모 석상이 봉안
- 노고단에는 신라시대부터 선도 성모를 모시는 남악사가 있었음
- 반야봉, 종석대, 영신대, 노고단과 같은 이름들도 신앙을 상징
◆ 지리산 주요 등산 코스
▶ 장터목 대피소~천왕봉 구간
- 맑은 날 남해 앞바다와 남해대교가 한눈에 보이는 장터목에서 천왕봉 구간은 약 1.7km, 1시간 30분 소요되는 구간
- 장터목에서 제석봉을 향하는 탐방로는, 힘이 들지만 제석봉에 고사목과 어우러진 지리산 경관은 매우 일품
▶ 천왕봉~중산리탐방안내소 구간
- 천왕봉에서 500m 지점을 내려오면 개선문과 천왕샘을 만날 수 있음
- 개선문은 하늘을 여는 문이라 하여 개천문이라고도 함, 천왕샘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샘
- 거대한 암벽사이에서 흘러나오는 물이 모여 만들어진 천왕샘의 시원한 암반수는, 탐방객들의 갈증을 한꺼번에 해소해 주기에 충분
- 주요 식생으로는 구상나무, 산오이풀, 지리터리풀, 지리고들빼기, 지리대사초, 노루오줌, 금마 터리 등 지리산 고산지에서 볼 수 있는 식물을 만날 수 있음